728x90 Kotlin25 2003번: 수들의 합 2[Kotlin] - with 백준 백준을 둘러보던 중 수들의 합 2라는 문제는 찾게 되었다. 문제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간단한 문제인 듯했다. 근데 이거 그냥 단순히 차례대로 하나씩 값을 더해보면 되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여 브루트 포스식(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으로 풀게 된다면 시간 초과가 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분류를 확인해 보니 투 포인터(Two-Pointer)로 분류가 된 것을 확인했다. 투 포인터(Two-Pointer)란 일차원배열에서 스타트 포인트와 엔드포인트를 두어 포인터를 옮겨가며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형태이다. 이 때문에 투 포인터 알고리즘이라고 불린다. 풀이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받은 값들을 이용하여 배열의 처음부터 시작하여 값들을 확인하여 두 포인터의 안의 값이 목표치보다 크다면 스타트 포인트를 옮겨서 범위를 작.. 2023. 1. 21. 코틀린의 스마트 캐스트(Smart cast)란?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형태를 바꿔야 하는 일이 굉장히 많습니다. 예를 들면 널 허용 타입의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변수의 뒤에 (.!!)를 지정해 주며 널 허용 타입이 아닌 기본 타입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등 굉장히 자주 형태를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하지만 이럴 때마다 프로그래머가 관리를 해주는 것은 굉장히 불필요한 일입니다. 따라서 코틀린에는 스마트 캐스트(Smart cast)라는 것이 있습니다. 짧게 설명하자면, 프로그래밍을 할 때 프로그래머가 모든 형태를 지정하지 않고도, 각 블록에 따라서 컴파일러가 알아서 캐스팅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글로만 보자면 조금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듯하여 예제와 함께 살펴봅시다. 널 체크 코틀린을 사용할 때 널 허용 타입을 아무런 검사도 하지 않고 연.. 2023. 1. 21. 기사단원의 무기[Kotlin] with 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를 보던 중 기사단원의 무기라는 문제를 찾게 되었다. 남자라면 설렐 수밖에 없는 제목. 참을 수 없었다. 문제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 2023. 1. 13. 코틀린의 자료형 [Do it! 코틀린 프로그래밍] 코틀린의 자료형은 참조형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보통 프로그래밍 언어의 자료형은 기본형 자료형과 참조형 자료형으로 구별합니다. 코틀린은 그중 참조형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기본형 자료형은 무엇이고, 참조형 자료형은 무엇일까요? 기본형(Primitive Data Type) 기본형은 가공되지 않은 순수한 자료형을 말하며 프로그래밍 언어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참조형(Reference Type) 참조형은 객체를 생성하고 동적 메모리 영역에 데이터를 둔 다음 이것을 참조하는 자료형을 말합니다. 자바에서는 int, long, float, double 등 기본형과 String, Date와 같은 참조형을 모두 사용합니다. 하지만 코틀린에서는 참조형만 사용합니다. 참조형으로 선언한 변수는 성능 최적화를 위해 코틀린 컴파일러.. 2023. 1. 8. 코틀린은 어떻게 실행될까 [Do it! 코틀린 프로그래밍] Hello World!라고 입력된 아주 간단한 내용입니다. 하지만 사실 여기에는 많은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앞으로 많은 것을 공부하게 될 것이기에 오늘은 프로젝트의 실행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틀린의 main() 함수 - 프로그램 실행 진입점 자바 같은 객체 지향 언어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최소한 하나의 클래스와 그 안에 main() 함수가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코틀린은 선언할 클래스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main() 함수와 print() 함수를 통해 콘솔에 문자열 "Hello World!"를 출력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우리가 작성한 코틀린 코드는 JVM에서 실행되며, main() 함수가 있는 파일 이름을 기준으로 자바 클래스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자동 생성된 자바 클래스는 .. 2023. 1. 1.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Kotlin] with 백준 2851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란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만들어낸 대표적인 소수 판별 알고리즘입니다.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소수 소수란 나눠지는 수가 1과 자기 자신밖에 없는 수를 뜻한다. 알고리즘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란 구하고자하는 모든 수를 나열한 이후 각 소수의 제곱수와 배수들을 하나씩 없애나가는 것이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1. 구하려는 모든 수들을 나열한다. 회색으로 칠해진 수들이 그 수들이다. 2. 2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2를 쓴다. 3. 자기 자신을 제외한 2의 배수들을 모두 지운다. (빨간색) 4. 남아있는 수 가운데 3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3을 쓴다. 5. 자기 자신을 제외한 3의 배수들을 모두 지운다. (초록색) 6. 남아있는 수 가운데 5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2022. 12. 2.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