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Algorithm3

2003번: 수들의 합 2[Kotlin] - with 백준 백준을 둘러보던 중 수들의 합 2라는 문제는 찾게 되었다. 문제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간단한 문제인 듯했다. 근데 이거 그냥 단순히 차례대로 하나씩 값을 더해보면 되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여 브루트 포스식(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으로 풀게 된다면 시간 초과가 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분류를 확인해 보니 투 포인터(Two-Pointer)로 분류가 된 것을 확인했다. 투 포인터(Two-Pointer)란 일차원배열에서 스타트 포인트와 엔드포인트를 두어 포인터를 옮겨가며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형태이다. 이 때문에 투 포인터 알고리즘이라고 불린다. 풀이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받은 값들을 이용하여 배열의 처음부터 시작하여 값들을 확인하여 두 포인터의 안의 값이 목표치보다 크다면 스타트 포인트를 옮겨서 범위를 작.. 2023. 1. 21.
기사단원의 무기[Kotlin] with 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를 보던 중 기사단원의 무기라는 문제를 찾게 되었다. 남자라면 설렐 수밖에 없는 제목. 참을 수 없었다. 문제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 2023. 1. 13.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Kotlin] with 백준 2851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란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만들어낸 대표적인 소수 판별 알고리즘입니다.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소수 소수란 나눠지는 수가 1과 자기 자신밖에 없는 수를 뜻한다. 알고리즘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란 구하고자하는 모든 수를 나열한 이후 각 소수의 제곱수와 배수들을 하나씩 없애나가는 것이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1. 구하려는 모든 수들을 나열한다. 회색으로 칠해진 수들이 그 수들이다. 2. 2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2를 쓴다. 3. 자기 자신을 제외한 2의 배수들을 모두 지운다. (빨간색) 4. 남아있는 수 가운데 3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3을 쓴다. 5. 자기 자신을 제외한 3의 배수들을 모두 지운다. (초록색) 6. 남아있는 수 가운데 5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2022. 12.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