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코틀린16

특정 키워드 변수명 마음대로 선언하기 코틀린을 사용하다가 한 번씩 사용할 수 없는 변수명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학생의 정보를 입력받을 때, 학년, 반, 번호, 이름을 입력받으려 할 때 이를 번역하여 영어로 바꾼다면 grade, class, number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해당 변수 중 class는 코틀린의 클래스를 나타내는 키워드이기도 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럼 class라는 이름은 변수명으로 절대 사용할 수 없을까? 그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을 하며 약간 융통성(?)을 발휘할 방법은 코틀린에서는 프로그래밍을 할 때 편리한 기능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특수문자나 숫자로 시작하는 변수는 코틀린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언더바(_)나 몇개의 문자를 넣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언더바를 변수.. 2023. 1. 25.
예외를 활용해 코드에 제한 걸기 코드를 작성할 때 확실하게 어떤 조건 일 때만 작동해야 하는 코드일 경우 예외를 걸어 제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api나 함수를 작성하게 되었을 때 해당 함수가 null일 때만 동작되는 함수를 아래 코드와 같이 그저 분기문으로 처리할 경우 해당 함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선 null을 사용하였을 때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아 직접 코드를 확인해야 합니다. 사용자 코드 제한하기 코드에 제한을 거는 방법 코드에 제한을 거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require 블록: 아규먼트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check 블록: 상태와 관련된 동작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assert 블록: 어떤 것이 ture 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모드에서만 작동합니다.) return.. 2023. 1. 24.
코틀린에서 타입 확인하기 코틀린에는 Any라는 타입이 있습니다. 해당 타입은 모든 타입의 뿌리가 되는 클래스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Int, String 등과 같은 클래스도 마찬가지이고, 직접 코드를 짜며 만드는 클래스들까지 모두 Any의 자식 클래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Kotlin의 슈퍼 클래스이다. Any형은 무엇이든 될 수 있기에 언제든지 필요한 자료형으로 자동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묵시적 변환이라고 합니다. 코틀린에서 타입체크 any 클래스의 멤버변수인 javaClass는 해당 변수가 어떤 기본형을 가지고 있는지 출력해 줍니다. 위에 코드를 보면 a는 Any라는 타입으로 선언이 되었지만 1이라는 값을 넣음으로써 Integer라고 확인되었고, Hello라는 값을 넣음으로써 String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타입별로.. 2023. 1. 22.
2003번: 수들의 합 2[Kotlin] - with 백준 백준을 둘러보던 중 수들의 합 2라는 문제는 찾게 되었다. 문제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간단한 문제인 듯했다. 근데 이거 그냥 단순히 차례대로 하나씩 값을 더해보면 되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여 브루트 포스식(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으로 풀게 된다면 시간 초과가 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분류를 확인해 보니 투 포인터(Two-Pointer)로 분류가 된 것을 확인했다. 투 포인터(Two-Pointer)란 일차원배열에서 스타트 포인트와 엔드포인트를 두어 포인터를 옮겨가며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형태이다. 이 때문에 투 포인터 알고리즘이라고 불린다. 풀이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받은 값들을 이용하여 배열의 처음부터 시작하여 값들을 확인하여 두 포인터의 안의 값이 목표치보다 크다면 스타트 포인트를 옮겨서 범위를 작.. 2023. 1. 21.
코틀린의 스마트 캐스트(Smart cast)란?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형태를 바꿔야 하는 일이 굉장히 많습니다. 예를 들면 널 허용 타입의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변수의 뒤에 (.!!)를 지정해 주며 널 허용 타입이 아닌 기본 타입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등 굉장히 자주 형태를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하지만 이럴 때마다 프로그래머가 관리를 해주는 것은 굉장히 불필요한 일입니다. 따라서 코틀린에는 스마트 캐스트(Smart cast)라는 것이 있습니다. 짧게 설명하자면, 프로그래밍을 할 때 프로그래머가 모든 형태를 지정하지 않고도, 각 블록에 따라서 컴파일러가 알아서 캐스팅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글로만 보자면 조금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듯하여 예제와 함께 살펴봅시다. 널 체크 코틀린을 사용할 때 널 허용 타입을 아무런 검사도 하지 않고 연.. 2023. 1. 21.
기사단원의 무기[Kotlin] with 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를 보던 중 기사단원의 무기라는 문제를 찾게 되었다. 남자라면 설렐 수밖에 없는 제목. 참을 수 없었다. 문제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 2023. 1. 13.
728x90